주식용어 공부 tlt tmf 뜻 무엇일까?
- 미국 뉴스
- 2023. 3. 29. 16:40
검색
저번시간에는 미국 국채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모르는 용어가 많이 나오게 되는데요, 오늘은
주식용어, 금융용어 중에 tlt tm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채권투자에 대해 먼저 알아볼게요.
채권투자를 직접하는 방식이있고, etf같은 금융상품을 통해 매수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공부하다 보면 tmf tlt 등 뭐 이런 기타 여러가지 특허들로 종목으로 이렇게 상장이 되어 있다고 나오는데요, 헷갈리는 용어가 많아서 공부해볼까요?
우선 한마디로 이야기 하면, tmf라든지 tlt는 채권형 etf를 매수하는 간접투자 방식을 의미합니다. 방식은 주식을 사고 파는것과 유사합니다.
예시를 들어 볼게요.
이 기업은 달러를 만드는 회사인데, 달러를 찍어내면 매출이 많이 늘어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달러를 많이 인쇄할 수록 회사의 경영이 좋아지는 그런 구조 입니다.
갑자기 이렇게 주가가 떨어진 이유는 달러를 찍어내는데 드는 비용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수익구조가 바빠졌기 때문입니다. 즉, 인건비가 올라라고 인쇄비용이 오르면서 원가 비용이 5%에서 6% 이상 올랐기때문이죠.
그래서 생산량이 줄어들게 되고, 원가 때문에 주가역시 큰 폭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전에는 찍으면 찍는 대로 전부 실적으로 잡혔습니다. 그 이유는 원가 비용이 너무 낮았어요 그런데 지금은 예전만큼 못하죠 비용이 너무 많이 올라서 생산을 많이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이렇게 쭉 주가 실적이 이렇게 떨어졌다 이렇게 좀 이해를 할 수가 있겠죠 그러니 이렇게 호시절에 비해서 당연히 뭐 돈을 못 버니까 주가가 뿡뚝 떨어진 거랑 똑같은 뭐 이치입니다 뭐 잘 아시겠지만 사실 여기서 말하는이 원가 비용이라는게 기준금리입니다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렸기 때문에 원가비용이 늘어나면서 계속 상승하게 된 것이죠.
주가로만보면 실적이 확 줄어들었기 때문에, 주가 역시 하락장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tnt 미국 30년물 투자하는 채권 ETF, TMF 30년물을 또 3배로 추종하는 etf는?
저도 레버리지 투자를 많이 하고 있지만, 사실 3배 추종은 정말 위험이 너무 큽니다. 그래서 아, 이거 너무 위험하다라는생각도 가끔 하죠. 하지만 생각보다 이게 위험하다고만 생각할 수 없는게 지금 금리의 구조상 이거 현명한 투자가 될 수도 있겠는데 이런 그러니까 위험하다는게 굉장히 주관적인 거 같고 사실 30년 채권 이렇게 긴 채권들은 보통 미국 30년 국채는 우리가 변동성이라고 하는데 변동성이 막 이렇게 움직이는 정도를 얘기하거든요 그래서 보통 코스피 보다는 코스닥이 변동성이 더 높습니다.
저도 이번 기회에 미국 장기국채인 tlt 투자를 더 깊게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배당수익률도 괜찮아서 tlt 상품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미국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스트리퍼블릭은행, 뱅크 주가 향후 전망 (2) | 2023.03.24 |
---|---|
2023 테슬라 모델Y 포토, 정보 모든 것 (0) | 2023.02.09 |
미증시 수익률 상승에 따라 주식 매도 아시아로 확대 (0) | 2021.09.29 |
빌 게이츠가 투자하는 안정적인 종목_뉴스 (0) | 2021.09.25 |
2021년 달라진 미 연준의 정책방향 (0)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