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ETF) 고르는 방법
- 안쓸신잡
- 2023. 3. 25. 17:00
검색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중 어떤 상품에 투자해야 할지 결정할 때, 꼭 봐야 하는 것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르는 방법 1. 현물인가 선물인가?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를 때, 체크해야 할 것은 현물인지, 선물인지 어떤 상품인지 체크해 주세요.
만약에 우리나라에 상장된 미국채 ETF는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부분입니다.
미국 채권 10년물이라고 하면 이 현물 상품에 우리가 직접 투자하는 것은 아니예요.
이것은 미국채 10년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장기 국채의 경우 아직까지 국내 상장 ETF 중에서는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이 잘 없고 상장지수증권(ETN)만 있습니다.
메리츠 증권에서 미국채 30년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이 출시된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3월에 출시 된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 상품에 대해 한번 알아볼게요.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르는 방법 2. ETF의 시가총액, 그리고 거래량 체크하기
펀드를 고를때, 여러분은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보시나요?
저는 전체 시가총액을 꼭 체크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거래가 많이 되는지, 거래량 체크도 매우 중요합니다.
일단 미국에 상장된 ETF의 경우 거래 규모의 단위 자체가 정말 큽니다. 그래서 매매 자체가 어렵지는 않아요.
하지만 국내 ETF는 상품에 따라서 거래량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증권사의 유동성 공급자가 물량을 대주긴 하지만, 때에 따라서 괴리율이 지나치게 벌어지거나 하면 내가 원하는 호가에 거래가 바로바로 안 될 수도 있죠.
거래량이 없기 때문에...
그래서 꼭 거래량과 시가총액을 체크해보세요.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르는 방법 3. 세금 꼼꼼하게 따지기
예전에 지인이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ETF) 에 투자했다가, 세금이 어마어마하게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세금을 신경쓰지 않고, 수익률만 신경 쓰다가, 괜한 세금폭탄을 맞은 것이죠.
미국 ETF 상품의 경우, 양도차익이 1년에 833만 3,333원 초과에서 최대 2,000만 원 이하로 된다면, 국내 상장 ETF에 투자하는 게 차라리 낫습니다.
세금이 더 많이 나오기 때문이죠.
그럼 어떤 경우에 해외에 투자해야 할까요? 반대로 해외 ETF 양도차익이 연간 833만3333원 이하이거나 2000만 원을 넘을 경우엔 해외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게 세금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르는 방법 4. 환 헷지 여부 따져보기
환 헷지란, 환율의 차이를 미리 선물로 대비해서, 환율이 급격하게 바뀌어도 거의 투자 수익은 많은 변동이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ETF)는 환 헷지가 가능합니다. 가능한 상품이 있는 것이죠.
왜냐하면 미국에 상장한 금융상품들은, 달러로 우리가 매수해야 합니다.
국내 상장 상품은 선택권이 있어요. 그래서 증권사 MTS에 미국채하고, 기간을 입력하면 내가 원하는 만기의 미국채에 투자하는 ETF상품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H" 라고 쓰여 있는 상품이 환 헷지를 한 상품입니다.
미국 국채 상장지수펀드 고르는 방법 5. 증권사 운영 보수
미국에 상장된 미국채 ETF 3가지는 전부 0.15%로 운용보수가 똑같습니다. 하지만 국내 상장된 미국채 ETF의 운용보수는 조금씩 다르죠.
그래서 똑같이 미국채 10년 선물에 투자해도, 운용보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하는 금액이 크다면, 그만큼 운용보수도 크기 때문에, 꼭 미리 챙기시면 좋습니다.
어떤 상품은 0.08% 인것도 있고, 또 어떤 상품은 0.15% 도 있거든요.
'안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N과 ETF 차이점 공부해보기 (1) | 2023.03.29 |
---|---|
자동차세 연납신청 최신정보 (0) | 2023.03.26 |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알아보기 (0) | 2023.03.25 |
유산세와 유산취득세의 차이는? (0) | 2023.03.24 |
다주택자 종부세 완화, 변경 최신내용 정리 (0) | 2023.03.23 |